올 추석 차례상을 차리는데 드는 비용은 전통시장이 대형마트보다 20% 가까이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.
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지난 4일부터 8일까지 전통시장 37곳과 대형마트 37곳을 대상으로 추석 제수용품 27개 품목에 대한 가격비교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통시장이 평균 29만5천939원으로 대형마트(평균 36만7천56원)보다 7만1천117원(19.4%) 가량 저렴한 것으로 조사됐다.
중기부·소진공 37곳 27개 품목 조사 결과? 시장 29만5천939원 vs?마트?36만7천58원
채소류·수산물·육류 등?전통시장에서 우위
품목 분류별 비율차를 보면 채소류(48%), 수산물(32.8%), 육류(21%) 등의 순으로 전통시장이 대형마트보다 가격우위를 보였다.
전통시장이 가격 우위를 보이는 품목은 깐도라지(64.5%), 고사리(63.8%), 숙주(44.8%), 대추(43.4%), 동태포(41.2%), 쇠고기(34.4%), 밤(33.1%) 순이었다.
지난해 추석 제수용품 가격과 비교하면 전통시장은 전반적인 가격이 0.1% 상승했고, 대형마트는 1.1% 올랐다.
사과, 배 등 과일류는 장마·폭염 영향으로 인한 수확량 감소로 가격이 상승했으며, 육류는 사육·도축 마릿수 증가로 가격이 하락했다.
앞서 가격조사기관 한국물가정보가 전국 전통시장·대형마트의 차례상 품목의 가격을 비교 조사했을 때도 전통시장에서의 구매 비용이 더 낮게 나타났다.
4인 가족 기준 전통시장의 물건을 구매할 경우 30만9천원, 대형마트는 40만3천280원이었다.
전통시장 구매 비용은 지난해보다 9천원, 대형마트는 7천990원 각각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.
올 추석 차례상을 차리는데 드는 비용은 전통시장이 대형마트보다 20% 가까이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.
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지난 4일부터 8일까지 전통시장 37곳과 대형마트 37곳을 대상으로 추석 제수용품 27개 품목에 대한 가격비교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통시장이 평균 29만5천939원으로 대형마트(평균 36만7천56원)보다 7만1천117원(19.4%) 가량 저렴한 것으로 조사됐다.
중기부·소진공 37곳 27개 품목 조사 결과? 시장 29만5천939원 vs?마트?36만7천58원
채소류·수산물·육류 등?전통시장에서 우위
품목 분류별 비율차를 보면 채소류(48%), 수산물(32.8%), 육류(21%) 등의 순으로 전통시장이 대형마트보다 가격우위를 보였다.
전통시장이 가격 우위를 보이는 품목은 깐도라지(64.5%), 고사리(63.8%), 숙주(44.8%), 대추(43.4%), 동태포(41.2%), 쇠고기(34.4%), 밤(33.1%) 순이었다.
지난해 추석 제수용품 가격과 비교하면 전통시장은 전반적인 가격이 0.1% 상승했고, 대형마트는 1.1% 올랐다.
사과, 배 등 과일류는 장마·폭염 영향으로 인한 수확량 감소로 가격이 상승했으며, 육류는 사육·도축 마릿수 증가로 가격이 하락했다.
앞서 가격조사기관 한국물가정보가 전국 전통시장·대형마트의 차례상 품목의 가격을 비교 조사했을 때도 전통시장에서의 구매 비용이 더 낮게 나타났다.
4인 가족 기준 전통시장의 물건을 구매할 경우 30만9천원, 대형마트는 40만3천280원이었다.
전통시장 구매 비용은 지난해보다 9천원, 대형마트는 7천990원 각각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.